콘하!
안녕하세요, 콘치입니다.
여러분 모두 휴대폰 한 대씩 있으시죠?
요즘은 초등학생, 유치원생들도 하나씩
가지고 있는 휴대폰.
바야흐로 저 콘치가 학생이었던 시절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친구들은
집이 부유한 친구들,
일명 금수저로 통했는데,
지금은 아이폰이다, 최신폰이다 해서
누구나 편리하게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몇 달전부터 가계부를 쓰다가 남편과 저의
고정지출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이동통신요금이 꽤 크더라고요.
저는 이동통신 대표 3사중 K사를 사용하고,
VIP 등급이었으며 (호갱...) 월 6만원을
내고 있었습니다.
남편은 3사중 S사를 사용하고,
VIP 등급이며 월 5만원의 요금이었어요.
둘이 이동통신요금만 월 11만원을
지출하고 있었습니다.
[이슈&이슈] 국감 가는 韓 데이터 요금…OECD 중 3번째
국내 5G 서비스 품질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지불하는 데이터 사용료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
www.viva100.com
우리나라 이동통신 요금이 싼 것도 아니고,
둘이 사는 집에서 10만원 이상의 이동통신요금과
집 안에서 사용하는 와이파이 인터넷 요금을 합치면
한 가구당 15만원은 우습게 나올 것 같아요!
또 저희 부부는 메이저 통신사에서 VIP를 위해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잘 이용하지 않았어요.
영화 쿠폰이나 빵집 할인, 커피 할인을
모르고 지나칠 때가 많았죠ㅠㅠ
그리고 VIP들을 위한 무료 쿠폰들의 범위가
점점 해마다 적어지더라고요!
그래서 알뜰요금제로 바꾸기로 했습니당!
저는 다행히 K사의 휴대폰 약정기간이 만료됐고,
단말기값도 완납을 해서 알뜰요금제로
갈아탈 수 있었어요!
알뜰요금제란?
3대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똑같이 쓰되
월 요금제가 낮다
알뜰요금제를 사용하려면 이동통신사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KT / LG / SK 3사 모두
알뜰요금제를 만들어 내고 있어요.
KT M 모바일, LG 유플러스 알뜰모바일, SK세븐모바일
이외에도 정말 많은 알뜰모바일사들이 있는데,
선호하시는 통신망과 요금제를 비교하셔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
저는 월 요금이 가장 중요했고,
유심값 무료, 납부 전용 카드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통신사 위주로 알아봤어요!
그리고 U+ 알뜰모바일, 일명 유알모로
결정했습니다!
저는 전화통화를 많이 하는 편이라
전화, 문자 무제한!
데이터 4.5GB 를 선택해서
월 요금 14,850원 입니다!
유알모 웹사이트를 통해서 직접
인터넷으로 신청후 유심을 받고
본인의 휴대폰에 유심칩만 끼워주면
간단하게 끝납니다!
제가 선택한 요금제 말고도 다양한 요금제가
있으니 비교해보고 결정하세용:)
납부 할 카드를 만들지 않아도 되어서
번거롭지 않게 바로 셀프 개통했습니당!
지금 알뜰요금제 사용한지 6개월정도 되었는데요.
사용해본 결과 통화음질이 떨어진다거나
인터넷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은 없습니다!
다만 U+ 고질적인 문제인
지하에서 터지지 않는다는 점..?
엘리베이터에서도 터지지 않아요ㅠㅠ
그전에 K 사를 사용할 때는
대한민국에서 안터지는 곳은 없었는데
U+ 은 그러네요..
그래도 가격의 메리트가 있어서!
꾸준히 사용할 계획입니다!
알뜰요금제 사용하는 것 외에도
고정지출을 줄일 수 있는 것들을
하나씩 바꿔야겠어요! >.<
'잘살기 > 푼돈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부] 2021-01-18~23ㅣ최고지출 (0) | 2021.01.25 |
---|---|
gs편의점 반값택배 이용법 - 지점,가격,접수 (ft.프로 당근러 필수템) (0) | 2021.01.24 |
[가계부] 2021-01-15~17ㅣ귀차니즘과 부지런함의 한끗차이 (0) | 2021.01.17 |
[앱테크]설문조사 앱으로 커피값을 벌어보자 (1) | 2021.01.16 |
[무지출과 지출의 사이] 2021-01-11~14 / 4일간 36760원 지출! (0) | 2021.01.14 |
댓글